.gitignore 에 등록하자! .DS_Store 현재 폴더 하위의 .DS_Store 삭제 sudo find ./ -name ".DS_Store" -depth -exec rm {} \; [참고]MAC_OS에서 .DS_Store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터미널을 열어 아래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com.apple.desktopservices DSDontWriteNetworkStores true # 다시 켜려면 com.apple.desktopservices DSDontWriteNetworkStores false
#사용중인 포트 리스트 lsof -i #특정 포트 사용 여부 확인 lsof -i :9092 sudo lsof -t -i tcp:8080| xargs kill -9
스트림은 왜 람다를 사용할 수 있나? (스트림은 어떻게 람다 표현식을 지원하나?) public interface Stream extends BaseStream { Stream filter(Predicate
람다 : 익명 함수 람다식 또는 람다함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익명함수(匿名函數, Anonymous functions)를 지칭한다. 함수형 인터페이스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 선언된 인터페이스 람다 표현식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구현을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람다 표현식 =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 코드 전달 그렇다면 왜 아래 Comparator 인터페이스는 함수형 인터페이스인가? @FunctionalInterface Comparator { int compare(T o1, T o2); boolean equals(Object obj); } Java의 모든 참조형 객체는 Object 클래스의 equals, getClass, hasCode, toString ... 메서드를 사..
전통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언어의 구성원(참조, 객체, 클래스, 메소드 등)에게 일급 시민과 이급 시민이라는 등급이 존재한다. Java 7 까지 분류 Java 8~ 이후 메소드도 1급 시민권을 획득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떠오르면서 1급 객체(First-class citizen)란 말을 많이 듣게 되는 것 같다. 1급 객체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아래 1급시민의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객체라면 1급객체 라고 할수 있다. 1급 시민의 조건 3가지 1. 변수나 데이타에 할당 할 수 있어야 한다. 2. 객체의 인자로 넘길 수 있어야 한다. 3. 객체의 리턴값으로 리턴 할수 있어야 한다. 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인 JAVA에서는, 함수가 1급 객체에 해당하지 않는다. Kotlin, JavaScript 등의 언어..
Overview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1 개의 추상 메소드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Java8 부터 인터페이스는 기본 구현체를 포함한 디폴트 메서드 (default method) 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디폴트 메서드가 있더라도 추상 메서드가 오직 하나면 함수형 인터페이스입니다. 자바의 람다 표현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로만 사용 가능합니다. Functional Interface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추상 메서드가 오직 하나인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추상 메서드가 하나라는 뜻은 default method 또는 static method 는 여러 개 존재해도 상관 없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FunctionalInterfa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데, 이 어노테이션은 해당 인터페..
5. 와일드카드 타입 , : 제한없음
gradle로 테스트를 돌리다 보면 아래와 같이 heap memory 부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Caused by: java.lang.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여러 문서들에서는 gradle.properties에서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메모리를 늘리면 된다 org.gradle.jvmargs=-Xmx2g 라고하는데 적용을 해도 계속 동일한 에러가 발생한다. gradle.properties는 gradle daemon과 관련된 설정으로 org.gradle.launcher.daemon.bootstrap.GradleDaemon 의 heap size 설정만 변경되며, 실제 build를 수행하는애들은 worker의 heap size(500MB)는 변경이 되지 않는다. wor..
목표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의 특징과 이를 이용한 의존성 주입 @RequiredArgsConstructor 이 어노테이션은 초기화 되지않은 final 필드나, @NonNull 이 붙은 필드에 대해 생성자를 생성해 줍니다. 주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편의성을 위해서 사용되곤 합니다. 스프링 의존성 주입의 특징 중 한가지를 이용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어떠한 빈(Bean)에 생성자가 오직 하나만 있고, 생성자의 파라미터 타입이 빈으로 등록 가능한 존재라면 이 빈은 @Autowired 어노테이션 없이도 의존성 주입이 가능하다. Exampl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RequiredArgsC..
Java7 부터 Objects.requireNonNull() 메소드가 있어 더 이상 null 검사를 수동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생성자 public ClassName(Long id, Long fromMemberId, Long toMemberId, LocalDateTime createAt) { this.id = id; this.fromMemberId = Objects.requireNonNull(fromMemberId) ; this.toMemberId = Objects.requireNonNull(toMemberId); this.createAt = Objects.requireNonNullElse(createAt, LocalDateTime.now()); } Object.requireNonNull() : 반드..